<aside>
✔️
일진그룹은 1968년 설립된 대한민국 대표 부품·소재 전문기업으로, 전력 인프라, 첨단소재, 전자부품, 의료기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.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혁신을 통해 국내 최초·세계 최초 제품을 다수 선보이며, 산업 발전과 수출 확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.
#부품·소재
#첨단기술
#전력인프라
#글로벌 경쟁력
#혁신
#1968년 설립
</aside>
<aside>
🎊 2025 신년사 🎊
</aside>
<aside>
최근 이 기업의 주요 관심사 🎯
01. 기업이 지금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문제는?
이차전지 소재 글로벌 확장
친환경·RE100 경영
수소·전기차 부품 신사업
전력·전선 사업 고도화
- 이차전지 소재 글로벌 확장
- 일진그룹은 전기차(EV) 및 에너지저장장치(ESS) 시장 성장에 맞춰 배터리 핵심 소재(특히 일렉포일, 구리박) 생산능력 확대와 해외 생산기지 구축에 집중하고 있습니다. 스페인, 말레이시아, 유럽 등지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며 글로벌 공급망을 강화하고 있습니다. (출처: 1, 5, 12)
- 친환경·RE100 경영
- SK E&S와의 PPA(전력구매계약)를 통해 2024년부터 연 60GWh의 재생에너지를 도입, 연간 2만7,600톤의 온실가스 감축을 추진하며 RE100(100% 재생에너지 사용) 달성에 나서고 있습니다. (출처: 6)
- 수소·전기차 부품 신사업
- 일진하이솔루스는 700bar 수소탱크, 수소저장시스템 등 수소 모빌리티 부품의 국내외 공급 확대와 유럽·미국 시장 진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. (출처: 2)
- 전력·전선 사업 고도화
- 일진전기는 초고압 케이블, 변압기 등 전력기기 생산능력 확장과 수출 확대에 집중하고 있습니다. 홍성 신공장 증설 등으로 고수익 제품 비중을 높이고 있습니다. (출처: 8, 9)
02. 진행 중인 핵심 프로젝트는?
유럽·스페인 배터리 소재 공장 건설
말레이시아·유럽·미국 생산기지 확장
수소탱크·친환경 부품 글로벌 공급
초고압 케이블·변압기 신공장
- 유럽·스페인 배터리 소재 공장 건설
- 스페인 타라고나에 6억 유로(약 8,600억 원) 투자, 연 2.5만 톤 규모 일렉포일 공장 건설(2024년 가동 예정), 500명 고용 창출. (출처: 1, 5, 12)
- 말레이시아·유럽·미국 생산기지 확장
- 말레이시아 공장 증설(연 6만 톤→9만 톤), 유럽 IME, 미국 IMA 등 현지 법인 설립 및 생산능력 확대. (출처: 11, 12)
- 수소탱크·친환경 부품 글로벌 공급
- 현대차 넥쏘, 미국 Hyzon, 유럽 Hyvia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수소탱크 공급, 상용차·선박·드론 등 다양한 모빌리티 분야로 확대. (출처: 2)
- 초고압 케이블·변압기 신공장
- 일진전기 홍성 신공장(2025년 완공 예정)에서 초고압 케이블, 변압기 등 고부가가치 전력기기 생산 확대. (출처: 8)
03. 기업의 핵심 제품/수익원은?
배터리용 일렉포일(구리박)
수소탱크·수소저장시스템
전력기기(초고압 케이블, 변압기 등)
자동차·산업용 베어링
- 배터리용 일렉포일(구리박)
- 전기차·ESS용 리튬이온배터리의 음극집전체 핵심 소재로, 삼성SDI, LG에너지솔루션, 폭스바겐, BYD 등 글로벌 고객사에 공급. (출처: 1, 3, 4, 12)
- 수소탱크·수소저장시스템
- 700bar 타입IV 수소탱크, 수소저장 모듈 등 수소차·상용차·선박용 부품이 성장동력. (출처: 2)
- 전력기기(초고압 케이블, 변압기 등)
- 국내외 초고압 전력망, 변전소, 산업용 전력설비에 공급. (출처: 8, 9)
- 자동차·산업용 베어링
- 현대차, 기아, GM, BMW 등 글로벌 완성차에 휠베어링, 파워트레인 부품 등 공급. (출처: 18, 19)
04. 기업의 장기 전략은?
글로벌 생산기지 확대
친환경·RE100·ESG 경영
신사업 다각화
기술혁신 및 R&D 투자
- 글로벌 생산기지 확대
- 유럽·미국·동남아 등 현지 생산기지 확장으로 글로벌 공급망 강화 및 현지화 전략 추진. (출처: 1, 11, 12)
- 친환경·RE100·ESG 경영
- 재생에너지 도입, 온실가스 감축, 친환경 소재 개발 등 ESG 경영 강화. (출처: 6)
- 신사업 다각화
- 수소·전기차 부품, 고부가가치 전력기기, 산업용 베어링 등 미래 성장동력 다각화. (출처: 2, 8, 18)
- 기술혁신 및 R&D 투자
- 초박막 일렉포일, 고효율 수소탱크, 스마트 전력기기 등 첨단 소재·부품 기술 개발에 집중. (출처: 2, 11)
최근 이 기업의 재무 현황 5줄 요약 💸
매출 성장
수익성
투자 확대 글로벌 공급망 강화
배당 및 재무 안정성
****
- 매출 성장
- 2024년 일진홀딩스 연결 매출은 약 1조 8,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증가세를 보였습니다. (출처: 13)
- 수익성
- 2025년 예상 영업이익(EBIT)은 676억 원, 순이익은 226억 원, 영업이익률은 4.1%로 소폭 개선 추세입니다. (출처: 13, 14)
- 투자 확대
- 스페인·말레이시아 등 해외 공장 증설, 수소·전력기기 신사업 투자 등으로 자산·설비투자가 크게 증가했습니다. (출처: 1, 11, 12)
- 글로벌 공급망 강화
- 유럽·미국·동남아 등 현지 생산기지 확장으로 글로벌 매출 비중이 확대되고 있습니다. (출처: 1, 11, 12)
- 배당 및 재무 안정성
- 2024년 주당 150원 배당(배당수익률 4.2%), 자본확충 및 현금흐름 개선 노력 지속. (출처: 14)
최근 이 기업의 산업 동향 3줄 요약 📍
배터리 소재 시장
성장 친환경·RE100 확산
수소·전력기기 고도화
- 배터리 소재 시장 성장
- 전기차·ESS 시장 확대에 따라 글로벌 구리박(일렉포일) 시장은 2025년까지 연평균 8% 이상 성장 전망, 기술 고도화와 대규모 투자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. (출처: 15)
- 친환경·RE100 확산
- 글로벌 제조업체 중심으로 RE100(재생에너지 100%) 도입, 온실가스 감축 등 ESG 경영이 산업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. (출처: 6)
- 수소·전력기기 고도화
- 수소차·상용차용 수소탱크, 초고압 케이블 등 친환경·고부가가치 부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. (출처: 2, 8)
</aside>
<aside>
https://indify.co/widgets/live/button/b86NWpBsKgCIAaN8Wqd3
Untitled
</aside>
<aside>
💡
</aside>
다른 기업 정보 알아보기 🔍